한두 제올라이트 부존 지역은 약 2천 3백만년에서 600만년 전에 (제3기 마이오세 시대) 형성된 퇴적 분지 입니다. 이 시기는 화산 활동이 심하게 발생하고 대륙의 지판들이 불안정 하여 지금의 한반도 지형인 동쪽이 높고 서쪽이 낮은 형태가 나타나게 되었고 동해가 생기게 되었습니다. 또한 중생대의 모든 공룡이 멸망하고 포유류가 번성하기 시작하는 지질시대입니다.
화산활동으로 인해 화산 폭발시 생성되는 다양한사이즈들의 분출물들과 화산재가 얕은 바다까지 날아가 쌓이게 된 천해성 담수의 퇴적 분지가 한반도의 동해안을 따라 만들어졌습니다.
화산재는 주로 규산(Si)과 알루미늄(Al)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높은 온도의 규산과 알루미늄이 물과 반응하여 이온화가 되고 그물망 구조를 이루게 됩니다. 그 구조에 물 분자와 기타 이온들이 끼어들어 그물망 조직을 안정화 시켜 제올라이트를 형성합니다.
이렇게 상당한 시간 쌓이고 쌓인 퇴적물들은 물리적 변화 와 화학적변화를 거쳐 응회암 즉 화산재로 만들어진 암석 제올라이트 광물이 되었습니다.
한두 제올라이트는 광채는 용동리층 응회암이 분급상태와 층리발달이 가지런하고 질서있게 발달하고 양호하며 평균적으로 SiO2 : 63.0~70.1%, AL2O3: 11.3~19.2%, FeO3 : 0.39~3.75%, CEC : 19.8~120.5meq/100g 특성을 이루고 있습니다.
따라서 제올라이트는 지구가 오랜 시간 활동을 통하여 현재 지구를 사용하고 있는 인간에게 준 귀한 자원이며 한두교역은 소중한 자원의 미래를 생각하며 개발하고 있습니다.